‘코로나 실직’, 스트레스·우울감 어떻게 극복할까?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경기 불황으로 일자리를 잃어가는 사람들이 점점 늘고 있다. 또 채용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이른바 ‘장기 백수’가 되어버린 사람들도 많다. 자영업계나 소상공인들도 마찬가지다. 코로나19 여파를 직격탄으로 맞아 폐업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렇게 한국 경제의 불확실성이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인원감축이나 해고, 취업난, 폐업 등으로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이들이 호소하는 증상은 체중 감소나 열감, 뒷목 뻐근함 등 다양하다. 이 같은 신체 이상 증세는 자신이 실업을 직접 겪었을 때 뿐만 아니라 정리해고 대상이 될까 봐 지나치게 걱정하는 데서 생기기도 하고, 주변사람의 실직 소식이나 미래에 대한 걱정, 전반적으로 경직된 직장 내 분위기 때문에 유발되기도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대전을지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유제춘 교수는 “우리나라 사람이 해고나 파면에 대해 느끼는 스트레스 지수는 중병에 걸리거나 중상을 입은 것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사람에 따라서는 일자리를 잃을 수도 있다는 두려움만으로도 극도의 스트레스를 받아 불안장애나 우울증에 시달리기도 한다”고 설명한다.

이렇게 해고, 실직 등의 스트레스로 인한 직업성 우울증은 우울한 기분뿐만 아니라 △불안 △초조 △신체적 불편감 △기억력이나 집중력 저하 △수면장애 △짜증과 신경질 등 우울감과 별로 관계가 없어 보이는 여러 가지 신체이상 증세를 동반할 수 있다.

때문에 가까운 가족들조차 우울증 위험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차리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심지어 우울증을 겪고 있는 본인조차 우울증이라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하고, 신체적인 이상증상에 집착하거나 치료를 거부하기도 한다.

직업성 우울증을 해결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일반 우울증 치료방법과 비슷하다. 우울감을 유발하는 머릿속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을 약물로 바로잡아 주고, 스트레스 강도를 줄이는 것이다.

문제는 윤 씨와 같이 직장 혹은 생계로 인한 스트레스는 환자 스스로 근본 원인을 제거하기가 어렵다는 사실. 그래서 이런 경우에는 가족의 도움이 필수적이다. 가족의 따뜻한 이해와 배려가 스트레스 강도를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대전을지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유제춘 교수는 “이들에겐 무엇보다도 유연한 사고를 가지고 직업적 위기를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는 자세가 필요하다”며 “우울증은 환자의 의지가 약해서 생기는 질병이 아니므로 충분한 기간 동안 전문의의 조언을 따라 치료하면 극복할 수 있다”고 말한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