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 후 탈모, 대체 무엇이 문제일까?

많은 산모들이 출산 후 여러 후유증에 시달린다. 산후 우울증부터 당뇨병까지 질환도 다양하다. 그 중 가장 공포스러운 후유증은 바로 탈모. 출산 후 탈모를 겪는 산모들이 적지 않다. 하지만 이 탈모가 언제까지 지속되며, 통상적으로 누구나 겪는 정도의 수준인지 등 알기는 쉽지 않다. 10월 10일 ‘임산부의 날’을 맞아 대전을지대학교병원 피부과 이중선 교수와 출산 후 탈모에 대해 알아본다.

일반적으로 출산 후 탈모가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은 여성호르몬 수치가 낮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태반에서 분비되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수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임신 기간에는 오히려 이전보다 머리카락이 빠지지 않는다. 보통 1일에 5~10개가 빠지는 정도인데, 정상적인 상황인 경우 하루에 100개 정도의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을 감안한다면 임신 기간 동안만큼은 거의 머리카락이 빠지지 않는 것이나 다름이 없다.

출산 후 탈모, 왜 생기나?

문제는 출산 이후부터다. 출산 후에는 에스트로겐이 급격하게 감소하기 때문에 안 빠지던 머리카락이 한꺼번에 빠지게 된다. 어떤 사람은 마치 방사선 치료를 받는 암 환자처럼 머리카락이 빠진다고 호소하기도 하는데, 이렇게 임신과 출산에 의해 발생하는 탈모를 ‘산후 휴지기 탈모’라고 한다. 개인마다 차이는 있지만 산모의 1/3 정도가 출산 후 탈모 증상을 경험한다고 알려져 있다. 보통 출산 후 3개월부터 탈모가 시작되어 6개월까지 전체 모발의 30~40%가 빠지는 탈모가 지속된다. 이후 6개월부터 탈모가 자연적으로 중지되고 새로운 머리카락이 나기 시작해 9개월까지 모발이 자란다. 이후 1년이 지나면 대부분 정상상태를 회복하게 된다.

만약 출산한 지 1년이 지나도 정상 모발의 상태를 회복하지 못하고 머리카락이 빠지는 상태가 지속된다면 여성형 탈모를 의심해 볼 수 있다. 또 탈모가 주는 스트레스는 남성보다 여성에서 강하게 나타나 간혹 우울증이나 강박증, 심한 좌절감에 빠지기도 한다. 따라서 자연 치유되지 않을 경우 전문의의 상담을 받는 것이 좋다.

탈모를 예방하고 건강한 모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머리를 감고 말리는 과정에서의 노력이 필요하다. 우선 머리를 감기 전 끝이 뭉툭한 빗으로 가볍게 빗어주는 것이 좋다. 단, 롤빗이나 빗살이 촘촘한 빗으로 머리를 과도하게 빗으면 오히려 머리가 더 많이 빠질 수 있다.

출산 후 탈모, 이렇게 대처하자!

만약 눈에 띄게 탈모가 진행되고 있다면 두피에 부담이 없고 두피 불순물을 깨끗이 세정하는 효과가 있는 탈모방지샴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머리를 감을 때는 손톱을 세우기보다는 손끝에 힘을 주고 마사지 하듯이 두피의 더러움을 제거해준다. 다 감고 나서는 머리카락을 과도하게 문지르지 말고 수건으로 모발을 눌러가며 물기를 없애준다. 마지막으로 드라이기로 머리를 말릴 때는 두피에 가까이 하면 모공이 열려 탈모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20cm 이상 띄워서 사용하도록 한다.

출산 후 육아에 집중하다 보면 하루에 머리감기는커녕 세수 한번 하기 힘들 정도로 정신없이 바쁘겠지만, 머리 감는 일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대전을지대학교병원 피부과 이중선 교수는 “두피에 쌓인 각종 노폐물이나 비듬, 과다지방, 박테리아 등은 탈모를 부추길 수 있는 위험인자들”이라며 “적어도 하루나 이틀에 한 번은 머리를 꼭 감고, 잘 말리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물론 임신성 탈모는 호르몬의 영향이 크지만, 스트레스로 인한 탈모 또한 무시할 수 없다. 특히 탈모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으면, 그 스트레스가 또다시 탈모를 유도하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도 있다.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겠지만, 주어진 여건 속에서 자신만의 방법을 찾아 스트레스를 해소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더불어 출산 후 임신 전의 체중으로 돌아가고자 무리하게 다이어트를 시도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 같은 노력이 탈모에는 독이 될 수 있다. 모발 건강에 도움을 주는 성분인 단백질과 비타민, 미네랄이 많은 음식을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좋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